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제도 위반사례와 과태료 및 주의사항

by 분양리포터 2025. 2. 27.
반응형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제도 위반사례와 과태료 주의사항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제도란?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제도는 부동산 시장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허위 신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매매 계약이 체결되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해당 지자체에 실거래가를 신고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위반 유형 및 과태료

부동산 실거래 신고와 관련된 대표적인 위반 유형과 이에 따른 과태료 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고 지연 또는 미신고

위반 내용: 매매 계약 후 30일 이내 신고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 거래 금액의 0.5% (최대 500만 원)

 

허위 신고 (가격 조작)

위반 내용: 실제 거래가와 다르게 신고하여 시세를 조작하는 행위

과태료: 거래 금액의 2% 이내 (최대 3,000만 원) 추가 처벌: 필요 시 검찰 고발 및 형사 처벌 가능

 

계약 해제 후 미신고

위반 내용: 계약이 해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신고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 500만 원 이하

 

증빙자료 미제출 또는 거짓 자료 제출

위반 내용: 실거래가 신고 시 증빙 서류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로 제출한 경우 과태료: 500만 원 이하

실거래가 위반 시 주의해야 할 사항

부동산 실거래 신고와 관련하여 주의해야 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고 기한 준수

매매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을 엄수해야 합니다.

 

실제 거래 금액 신고

일부 투자자들이 가격을 낮추거나 높게 신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시세 조작 및 시장 교란 행위로 간주되어 엄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 해제 신고

계약이 해제되었을 경우에도 30일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이를 누락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빙 자료 철저히 보관

실거래 신고 시 제출한 서류는 추후 국세청 및 관련 기관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계약서, 송금 내역, 등기 자료 등을 반드시 보관해야 합니다.

 

실거래가 위반사례 및 대응방안

사례 1: 시세 조작을 위한 허위 신고

A씨는 높은 시세를 유지하기 위해 10억 원에 거래된 아파트를 11억 원으로 허위 신고했습니다. 하지만 조사 과정에서 허위 신고가 적발되어 거래 금액의 2%인 2,2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습니다.

 

대응 방법:

반드시 실제 거래된 가격을 신고해야 하며, 허위 신고 시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사례 2: 계약 해제 후 미신고

B씨는 아파트를 매도했으나 계약이 해제되었습니다.

그러나 해제 신고를 하지 않아 5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습니다.

 

대응 방법:

계약이 취소된 경우 30일 이내 해제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5. 결론

부동산 실거래 신고는 단순한 의무가 아닌, 시장 투명성을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신고 기한을 준수하고 허위 신고를 피하며, 거래와 관련된 모든 증빙 자료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위반 시에는 과태료뿐만 아니라 법적 처벌까지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확한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거래 시 실거래가 신고를 철저히 준수하여 불필요한 과태료 부과 및 법적 문제를 방지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