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실거래가,기준시가,공시지가 차이점과 정보알아보기

by 분양리포터 2024. 11. 16.
반응형

 

 

 

 

부동산 거래 시 핵심적으로 이해해야 할 실거래가, 기준시가, 공시지가의 개념과 차이를 잘 정리한 내용입니다. 각각의 의미와 사용

되는 상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실거래가

  • 정의: 부동산 거래 당사자 간 실제 주고받은 가격.
  • 특징: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개별적인 사정(급매, 입지 조건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사용 예: 실거래가 신고제에 따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며, 부동산 매매 시 참고 자료로 활용.

 

 

 

 

 

 

 

 

 

2. 기준시가

  • 정의: 국세청이나 관련 감정기관이 부동산 가치를 감정하여 산출한 가격.
  • 특징: 실거래가, 시장가 등을 반영하여 일정 비율로 산정. 실거래가 평균의 약 80% 정도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음.
  • 사용 예: 양도소득세, 증여세 등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됨.

 

 

 

 

 

 

 

 

3. 공시지가

  • 정의: 국가가 조사·평가하여 공시한 토지나 건물의 공식적인 가격.
  • 특징: 표준지 공시지가(국가)와 개별 공시지가(지자체)로 나뉘며, 세금, 보험료 산정 등에 사용.
  • 사용 예: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건강보험료 등의 산정 기준 자료로 활용.

 

 

 

 

 

 

 

 

 

간단히 비교

항목실거래가기준시가공시지가

결정 주체 거래 당사자 감정기관(국세청 등) 국가 및 지자체
적용 기준 실제 거래 가격 실거래가 및 시장가 반영 공공적 기준에 따라 산정
활용 분야 매매·임대 참고 자료 양도소득세, 증여세 등 재산세, 종부세, 건보료

 

 

 

 

 

 

 

 

정보 확인 방법

  1. 실거래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2. 기준시가: 국세청 홈택스.
  3. 공시지가: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이를 활용해 부동산의 적정 가치를 파악하고, 거래 시 유리한 조건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모두 거래 과정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므로, 목적에 맞는 정보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